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1

사주 기본 해석하기 1편- 4개 기둥 중 연주, 월주로 조상운, 직업운 보는 법 지난 포스팅에서는 간단하게 사주팔자를 확인하는 만세력 보는 법을 설명했습니다. 여기서 사주팔자를 표기한 8칸짜리 표를 보셨을텐데요, 이 중 위아래칸을 하나로 묶어 간단한 사주 해석을 해볼 수 있습니다. 이 기둥은 태어난 연월일시의 기운을 담고 있는 기둥으로, 왼쪽 열에서 부터 시주, 일주, 월주, 연주라고 부릅니다.  사주 만세력을 확인하는 방법은 이전 글을 참고해주세요. 본인 사주팔자 확인 간단하게 해석하는 방법 만세력 사이트 추천1. 사주팔자란?사주팔자는 연주(年柱), 월주(月柱), 일주(日柱), 시주(時柱)로 구성된 네 개의 기둥(四柱)과 여덟 글자(八字)를 의미합니다.이 여덟 글자를 통해 개인의 성격, 재물운, 직업운, 건강easypls.com 사주의 네 개 기둥이 의미하는 것사주의 네 개 기둥은.. 2025. 2. 5.
본인 사주팔자 확인 간단하게 해석하는 방법 만세력 사이트 추천 1. 사주팔자란?사주팔자는 연주(年柱), 월주(月柱), 일주(日柱), 시주(時柱)로 구성된 네 개의 기둥(四柱)과 여덟 글자(八字)를 의미합니다.이 여덟 글자를 통해 개인의 성격, 재물운, 직업운, 건강운, 배우자운 등을 해석할 수 있습니다. 사주팔자의 음양오행은 목, 화, 토, 금, 수 5개의 오행을 각각 양/음으로 구분해서 총 10개의 글자를 써서 표현하고 있습니다. 사람이 완벽할 수 없는 이유가 이 때문이라고도 합니다. 8개의 칸에 10개의 글자를 채울 수는 없으니까요. 어느 부분에서든 부족하거나 넘칠 수 밖에 없으므로 이 가운데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사주팔자를 보는 이유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음양오행 개념표오행(五行)음양(陰陽)계절특징목(木)양목(甲)음목(乙)봄성장, 창조화(火.. 2025. 2. 2.
니체 vs 쇼펜하우어 (의지철학, 허무주의, 미학) 니체와 쇼펜하우어는 독일을 대표하는 철학자입니다. 두 사람 모두 ‘의지’라는 개념을 중요하게 생각했지만, 그 해석 방식이 완전히 달랐습니다.쇼펜하우어는 "인생은 고통이다. 그러므로 욕망을 버리고 조용히 살아야 한다."라고 말했습니다.니체는 "고통을 두려워해선 안된다. 오히려 고통을 극복하면서 더 강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라고 주장했습니다.즉, 쇼펜하우어는 고통을 피해야 하는 것으로, 니체는 고통을 성장을 위한 발판이라고 여겼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철학자의 차이를 쉽게 비교해 보겠습니다. 1. 쇼펜하우어 "인생은 고통이다. 욕망을 버려라."1) 인간은 왜 고통을 느낄까?쇼펜하우어(1788~1860)는 "우리가 불행한 이유는 끝없는 욕망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예를 들어,새 스마트폰을 사고 싶어서 돈을.. 2025. 1. 31.
직장인을 위한 철학 (스토아주의, 실용주의, 윤리) 사회생활을 하는 직장인의 일상은 늘 스트레스와 갈등으로 가득 차 있기 마련입니다. 업무, 인간관계, 성과에 대한 부담과 갈등 속에서 균형을 잡고 살아가는게 가능하긴 할까요? 이럴 때 옛 성인들의 철학을 들여다보고 사회생활을 받아들이는 태도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는건 어떨까요.이번 글에서 준비한 철학은 스토아주의, 실용주의, 윤리철학입니다. 스토아주의는 감정을 조절하고 현실을 받아들이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며, 실용주의는 효율적인 사고방식을 길러야 한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윤리철학은 올바른 선택을 하는 기준을 제공합니다.자 그럼, 사회에 찌든 직장인들이 철학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스토아주의 : 감정 조절과 현실 수용1. 감정을 다스리는 것이 핵심이다스토아 철학은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 2025. 1. 30.
철학 초보자를 위한 개론 (소크라테스, 데카르트, 칸트) 철학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 소크라테스, 데카르트, 칸트는 반드시 알아야 할 중요한 철학자들입니다. 이들의 사상은 서양 철학의 기초를 이루며, 인간의 사고 방식과 세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세 철학자의 핵심 사상을 쉽게 알아보겠습니다."질문하는 것이 중요하다" 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기원전 469~399년)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로, 질문을 통해 깊이 생각하는 방법을 알려준 사람입니다. "너 자신을 알라"라는 말이 유명한데, 이는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고 더 많이 배우려는 태도가 중요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소크라테스는 문답법(산파술)이라는 대화법을 사용했습니다. 누군가가 어떤 주장을 하면 계속 질문을 던져서 그 주장이 맞는지 스스로 다시 생각해보도록 했습니다. 이렇게.. 2025. 1. 30.